를 포함하는 두 글자의 단어: 11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118개 세 글자:360개 네 글자:446개 다섯 글자:363개 여섯 글자 이상:1,160개 모든 글자:2,448개

  • : (1)가장 심함. (2)가장 깊음.
  • : (1)수나 양 따위가 가장 많음. (2)‘취하다’의 방언
  • : (1)조선 후기의 학자(1783~1874). 자는 국보(國輔). 호는 구암(苟菴). 돈령부 도정(都正)을 지냈다. 경사(經史)에 밝고 시문(詩文)에 뛰어나 많은 저서를 남겼다. 저서에 ≪구암부묵(苟菴副墨)≫, ≪제자초략(諸子抄略)≫, ≪역례초록(易禮抄錄)≫ 따위가 있다.
  • : (1)가장 귀하고 중요함.
  • : (1)약물 따위를 써서 임신부의 해산을 쉽고 빠르게 함.
  • : (1)상대편의 힘을 꺾어서 누름. (2)마음이 슬퍼서 눌림. 또는 마음을 억누름.
  • : (1)피부에 옷이나 손이 닿으면 아파하는 증상.
  • : (1)수나 정도 따위가 가장 작음. (2)양 따위가 가장 적음. (3)가장 젊음.
  • : (1)가장 즐기고 좋아함.
  • : (1)신라 진평왕 때의 장군(?∼624). 사량부(沙梁部)의 사람으로, 백제의 대군이 속함성(速含城) 등 여섯 성을 공격할 때 성을 사수하다가 전사하였다.
  • : (1)재촉하여 부름.
  • : (1)맨 처음.
  • : (1)‘지초’의 옛말.
  • : (1)‘최외하다’의 어근.
  • : (1)잠이 들게 함. (2)암시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이끌어 낸, 잠에 가까운 상태.
  • : (1)조선 시대의 의병장(?~?). 자는 여평(汝平). 호는 소호(蘇湖). 시호는 의민(義敏). 임진왜란 때에 의병을 일으켜 고성(固城) 등지에서 크게 활약하였고, 정유재란과 이괄의 난 때에도 전공을 세웠다.
  • : (1)시계가 때를 재촉함.
  • : (1)굴복하여 사죄함.
  • : (1)행사나 모임을 주장하고 기획하여 엶.
  • : (1)가장 알맞음.
  • : (1)가장 급하거나 빠름.
  • : (1)가장 낮음. (2)기세가 꺾여 풀이 죽음.
  • : (1)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의 상중에 아들이 입는 상복인 베옷.
  • : (1)마음이나 기운이 꺾임. (2)억눌러서 제어함.
  • : (1)당악 정재 곡파무에 부르거나 연주하던 곡의 하나. ≪고려사≫ <악지>의 석노교 곡파무에는 가사만 전하고, ≪악학궤범≫에는 가사 없이 이를 연주했다고 전한다.
  • : (1)갑자기 재채기를 좀스럽게 하는 소리.
  • : (1)비단옷이 흔들릴 때 나는 와삭거리는 소리.
  • : (1)조선 후기의 화가(?~?). 자는 성기(聖器)ㆍ유용(有用)ㆍ칠칠(七七). 호는 호생관(毫生館)ㆍ성재(星齋)ㆍ기암(箕庵)ㆍ월성(月城)ㆍ거기재(居基齋)ㆍ삼기재(三奇齋). 산수화와 인물화에 능하였으며 기행(奇行)으로 유명하다. 작품에 <하경산수도(夏景山水圖)>, <추경산수도(秋景山水圖)>, <관폭도(觀瀑圖)> 따위가 있다.
  • : (1)어떠한 때보다 훨씬 이전. (2)맨 처음.
  • : (1)눈물샘을 자극하여 눈물을 흘리게 함.
  • : (1)가장 새로움. (2)‘짚신’의 방언
  • : (1)삼베로 만든 상복(喪服)의 웃옷.
  • : (1)썰매를 남여 모양으로 꾸밀 때 자리의 둘레를 막는 물건. 볏짚을 곱게 다듬어 멍석의 눈같이 짜서, 세 면은 약간 길쭉하고 둥글게 하고 앞의 한 면은 직선으로 된 나무틀에 씌운 것이다
  • : (1)구토가 나게 함.
  • : (1)고려 말기의 명장ㆍ재상(1316~1388). 친원파(親元派)로서 1388년에 팔도(八道) 도통사가 되어 명나라를 치러 출정하였으나 이성계의 환군으로 실패하고 후에 그에게 피살되었다.
  • : (1)납세를 재촉함.
  • : (1)‘도무지’, ‘영’의 뜻을 나타내는 말.
  • : (1)고려 전기의 학자ㆍ문신(984~1068). 자는 호연(浩然). 호는 성재(惺齋)ㆍ월포(月圃)ㆍ방회재(放晦齋). 글씨와 문장에 뛰어났으며 해동공자로 추앙되었다. 문집 ≪최문헌공유고(崔文憲公遺稿)≫가 전한다.
  • : (1)일의 처리를 독촉함.
  • : (1)오복(五服)의 하나. 거친 베로 짓되 아랫단을 꿰매지 않고 접는 상복이다. 아버지나 할아버지의 상(喪)에 입는다.
  • : (1)중국 북송의 화가(?~?). 자는 자서(子西). 화조(花鳥)를 특히 잘 그렸으며, 자기 내면에서 느낀 자연을 색채 위주로 묘사하였다.
  • : (1)‘최찬하다’의 어근.
  • : (1)가장 왕성하고 한창임.
  • : (1)중국 청나라의 학자(1740~1816). 자는 무승(武承). 호는 동벽(東壁). 중국 고대사를 주로 연구하였으며 특히 고증학에 뛰어났다. 저서에 ≪최동벽유서(崔東壁遺書)≫, ≪고신록≫ 따위가 있다.
  • : (1)수태음폐경에 속하여 있는 혈(穴). 손목과 팔꿈치 중간에서 조금 위쪽에 있다. (2)가장 큰 공로. (3)공동으로 주최함.
  • : (1)‘초피’의 방언
  • : (1)조선 시대의 문신(1563~1640). 자는 계승(季昇). 호는 인재(訒齋). 부제학, 강원도 관찰사를 지냈다. 임진왜란 때 구국책을 올려 원릉 참봉(元陵參奉)이 되고, 광해군 때에 천도론에 반대하여 계획을 중단하게 하였다. 저서에 ≪인재집≫, ≪일선지(一善志)≫ 따위가 있다.
  • : (1)가장 짧음.
  • : (1)‘도끼’의 옛말.
  • : (1)‘최귀하다’의 어근.
  • : (1)급하게 재촉하여 운송함.
  • : (1)가장 좋음.
  • : (1)‘최친하다’의 어근.
  • : (1)젖이 나게 함.
  • : (1)가장 좋음. (2)가장 좋아함. (3)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754). 사훈원외랑(司勛員外郞)에 올랐으며, 악부시를 잘 지었다. 그의 작품 중에 <황학루(黃鶴樓)>는 당나라 칠언 율시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작품으로 평가된다. (4)중국 북위(北魏)의 정치가(?~450). 천문과 역법에 능하였다. 태무제(太武帝) 때 유연(柔然)을 물리치고 북경(北京)을 점령할 때 공이 있어 사도(司徒)의 벼슬까지 올랐다. ≪국사(國史)≫ 30권을 편찬할 때 참여하였는데 탁발씨의 비사를 수록하였다가 국악(國惡)을 폭로한다는 죄목으로 삼족 128명과 함께 처형되었다.
  • : (1)조선 시대의 화가(?~?). 도화서 화원을 거쳐 별제가 되었다. 인물화에 특히 뛰어나 산수화의 안견과 함께 이름을 떨쳤다.
  • : (1)오복(五服)의 하나. 조금 굵은 생베로 짓되 아래 가를 좁게 접어서 꿰맨 상복이다. 부모상에는 삼 년, 조부모 상에는 일 년, 증조부모 상에는 다섯 달, 고조부모 상에는 석 달을 입고, 처상(妻喪)에는 일 년을 입는다.
  • : (1)조선 시대의 문인ㆍ학자(1539~1612). 자는 입지(立之). 호는 간이(簡易)ㆍ동고(東皐). 승문원 제조(提調), 형조 참판을 지냈다. 문장에 능하고 학문에 통달하였으며, 특히 역서(易書)에 밝았다. 저서에 ≪간이집≫ 9권이 있다.
  • : (1)가장 큰 혜택.
  • : (1)농작물의 씨 따위를 심기 전에 알맞은 조건을 만들어 주어 싹을 빨리 틔우는 일.
  • : (1)상중(喪中)에 입는 삼베옷. 상복과 수질(首絰) 및 요질(腰絰)이 있다.
  • : (1)꺾어서 손상을 입힘. 또는 꺾여서 손상을 입음.
  • : (1)아들이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의 상중에 입는 상복.
  • : (1)세금을 낼 기한이 가까이 닥쳐옴.
  • : (1)중국 당나라의 제17대 황제인 ‘의종’의 본명.
  • : (1)맨 끝.
  • : (1)가장 긺.
  • : (1)베를 짤 때 폭이 좁아지지 아니하도록 가로나비를 버티는 가는 나무오리. 활처럼 등이 휘고 양 끝에 최를 박았다.
  • : (1)조금 굵은 생베로 짓되 아래 가를 좁게 접어서 꿰매서 입는 상례 복제. 부모상에는 삼 년, 조부모 상에는 일 년, 증조부모 상에는 다섯 달, 고조부모 상에는 석 달을 입고, 처상(妻喪)에는 일 년을 입는다. (2)‘자취’의 옛말.
  • : (1)가장 나쁨.
  • : (1)모임이나 회의 따위를 주최하여 엶.
  • : (1)독립운동가(1878~1958). 호는 고우(古友). 3ㆍ1 운동 때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독립 선언서에 서명하고 복역한 후 천도교의 교세 확장에 힘썼다. 뒤에 친일파로 돌아서서 매일신보 사장을 지냈다.
  • : (1)상례(喪禮)에서, 베 직령(直領)에 묵립과 묵대를 갖추어 입는 옷차림. 아버지가 살아 있을 때 돌아간 어머니의 담제(禫祭) 뒤와 생가(生家) 부모의 소상(小祥) 뒤에 입는다.
  • : (1)재촉하여 징수함.
  • : (1)얼마 되지 않은 지나간 날부터 현재 또는 바로 직전까지의 기간. (2)거리 따위가 가장 가까움.
  • : (1)베로 만들어 입는 치마 모양의 상복. (2)높이, 수준, 등급, 정도 따위의 맨 위. (4)기가 꺾이고 몸이 상함. (5)두드려 부수어 상하게 함.
  • : (1)가장 싼 물건값.
  • : (1)가장 사랑함. 또는 그런 대상.
  • : (1)가장 강함. 또는 그런 것.
  • : (1)고려 시대 무신 정권기의 집권자(?~1257). 초명은 만전(萬全). 최우의 아들로 아버지의 뒤를 이어 집권한 후, 무고(誣告)를 믿어 계모 대 씨(大氏)를 독살하고 많은 중신을 죽였으며, 몽고에 대하여는 강경 정책을 썼다. (2)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1409~1474). 자는 정부(貞父). 호는 동량(㠉梁)ㆍ태허정(太虛亭). 영의정을 지냈다. 훈민정음 창제에 공을 세웠으며 실록 편찬에 참여하고 ≪경국대전≫, ≪동국통감≫을 찬정(撰定)하였다. 저서에 ≪태허정집(太虛亭集)≫, ≪관음현상기(觀音現相記)≫ 따위가 있다.
  • : (1)쳐서 부숨.
  • : (1)‘최우’의 다른 이름.
  • : (1)‘촉새’의 북한어.
  • : (1)부수어 깨짐. 또는 부수어 깸.
  • : (1)과실을 고온에서 성숙시키거나 에틸렌으로 성숙시켜 착색하거나 과피의 색을 좋게 하는 작업.
  • : (1)고려 시대 무신 정권기의 집권자(?~1249). 시호는 광렬(匡烈). 최충헌의 아들로 전대(前代)의 부패를 없애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이름난 유학자를 등용하는 한편, 몽고의 침입에 대비하여 강화로 천도(遷都)하고 대장경판(大藏經板) 재조(再雕)를 완성하였다.
  • : (1)어떤 일을 빨리 하도록 조름.
  • : (1)신라 때에, 문장가로 유명한 최씨 세 사람. 최치원, 최승우, 최언위를 이른다. (2)고려 시대에, 완산에 살던 문장가인 최씨 세 사람. 최송년, 최척경, 최균을 이른다.
  • : (1)‘최질’의 옛말.
  • : (1)잔글씨를 쓰는, 작고 가느다란 붓. ⇒규범 표기는 ‘초필’이다.
  • : (1)궁중무 곡파무(曲破舞)에 연주하는 곡. ≪고려사≫ <악지(樂志)>의 석노교 곡파(惜奴嬌曲破)에는 생략되었고, ≪악학궤범≫에는 가사 없이 이를 연주한다고 하였다.
  • : (1)부화하기 전의 누에를 알맞은 온도, 습도, 공기가 있는 곳에 두어 부화하도록 함. 또는 그런 일.
  • : (1)가장 중요하고 요긴함.
  • : (1)중국 남북조 시대 북위(北魏)의 역사가(?~?). 자는 언란(彦鸞). 중산대부(中散大夫), 황문시랑(黃門侍郞)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서진(西晉) 이후 16국의 역사를 연구해 ≪십육국 춘추(十六國春秋)≫ 102권을 펴냈다.
  • : (1)‘최최하다’의 어근.
  • : (1)‘애초에’가 줄어든 말.
  • : (1)‘사위’의 방언
  • : (1)맨 마지막. (2)삶의 마지막 순간.
  • : (1)값이 가장 쌈.
  • : (1)맨 끝.
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개) : 차, 착, 찬, 찰, 참, 찹, 찻, 창, 채, 책, 챌, 챔, 챙, 처, 척, 천, 철, 첨, 첩, 첫, 청, 체, 첵, 첸, 쳇, 쳐, 쳔, 쳘, 초, 촉, 촌, 촐, 촙, 총, 촨, 최, 쵸, 추, 축, 춘, 춝, 춤, 충, 췌, 취, 츠, 측, 츩, 츰, 츳, 층, 츼, 치, 칙, 친, 칠, 칡, 침, 칩, 칭, 칰

실전 끝말 잇기

최로 시작하는 단어 (1,991개) : 최대 근접쌍 문제, 최고 경영자 이미지 전략, 최단 경로 우선 프로토콜, 최소 최대화 전략, 최소 예상선, 최적의 방식, 최다 쇄, 최대어, 최첨단 시스템, 최심, 최고 정보 보안 책임자, 최대 증식 허용 농도, 최대 할당, 최신순, 최장 경로, 최대 유효 문자, 최정희, 최루 희극, 최소 최근 사용 빈도 페이지 교체, 최하위급, 최존칭, 최소 효율 규모, 최상위층, 최고 소유권, 최고 원소, 최적 발화 혼합물, 최하급자, 최적화법, 최초 설치 전지, 최고품 ...
최로 시작하는 단어는 1,99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최를 포함하는 두 글자 단어는 11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